기본적으로 다이어토닉 코드는
1.4도 M7
2,3,6도 m7
5도 7
7도 m7b5
이렇게 구성되어 있다.
5도 진행되는 순서로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다.

M7 코드는 각 음계에 두 개가 존재한다.
이 말은 예를 들어 GM7은 전체 표 안에서 따 두 군데에서 사용되고 있다는 말과 같다.
#이 하나 붙는 # 1 줄의 G키에서의 1도,
그리고 #이 두개 붙는 # 2 줄의 D키에서의 4도.
이렇게 보면 각각의 m7 코드는 전에 표 안에서 세 개를 발견하게 된다.
Em7을 예로 들면
2도 역할을 하는 D키에 하나,
3도 역할을 하는 C키에 하나,
6도 역할을 하는 G키에 있다.
다른 곳에서는 어디서도 Em7은 찾을 수 없다.
마찬가지로 각 음계에 하나만 존재하는 7코드와 m7b5 코드는 말 그대로 도표 안에서 각각의 코드가 딱 하나만 존재하게 된다.
다이어토닉 코드는 꼭 기억해둬야 하지만 억지로 외우려하면 더 피곤하다.
원리를 기억하고 몸에 베게 하는 것이 좋다.
각 음계만 만들어지는 원리, 그 음계의 도수마다 붙는 코드를 기억해야 한다.
다이어토닉을 알아야 도미넌트 모션이 보이고 거기서 나아가 세컨더리 도미넌트 모션을 사용하게 된다.
'음악 > Guit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딘 A6 ultra 판매합니다.[판매완료] (0) | 2019.07.21 |
---|---|
기타 관련 물품들 판매합니다. (1) | 2019.06.27 |
Kari Jobe - Forever 한글 악보. (0) | 2019.01.18 |
브라운 워십 - 복음 들고 산을 전체 연주 설명입니다. (4) | 2018.12.06 |
브라운 워십 - 복음 들고 산을 전주 설명 (0) | 2018.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