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배/성경공부47 선지자들의 예언 속에 나타난 천국운동(사-말) / 예레미야 애가를 통해서 나타난 천국운동(렘애 5:19) 예레미야 애가의 배경예레미야 애가는 역사적으로 유다 왕국과 그 도성의 멸망을 통해 이루어진 하나님의 심판에 그 백성이 어떻게 굴복했나를 증거할 목적으로 기록된 책이다. 본서는 5편의 슬픈 노래가 모여서 이루어졌다. 이 5편의 슬픈 노래에는 세 가지 중요한 주제가 다루어지고 있는데, 첫 번째 주제는 예루살렘이 겪은 무서운 재난에 대한 탄식이다. 두 번째 주제는 유다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이 합당하다는 사실을 자복하며 행하는 죄의 고백이다. 그리고 세 번째 주제는 하나님이 장차 자기 백성을 회복시키실 것이라는 현실적으로는 정치적인 희망이지만 궁극적으로는 천국과 그 영광으로의 삶을 말하고 있다. 1) 제목 각 책의 첫 단어를 제목으로 삼는 히브리 관례에 따라 본서의 히브리 원전의 제목은 본서의 첫 단어인 ‘에카.. 2012. 4. 8. 선지자들의 예언 속에 나타난 천국운동(사-말라기) / 예레미야서를 통해서 나타난 천국운동(렘 33:14-18) 예레미야서의 저자, 기록목적, 주제 및 특징, 생애, 배경 예레미야서의 저자와 기록연대 1) 저자 예레미야(여호와께서 던지신다) 2) 기록연대 렘 36:1-2에 의하면 여호야김 4년(BC 605)에 예레미야는 여호와의 명령을 따라 그 메시지를 두루마리에 기록했다고 한다. 29:1, 30:2, 51:60 등의 구절들은 바룩의 두루마리에 기록한 것 외에는 대부분 여호와의 메시지가 주어지자마자 곧바로 기록되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본서에 수록된 내용은 52장 끝부분을 제외하면 거의 전체가 예레미야 사망(BC 585) 직후에는 완성되었을 것이다. 요컨대 본서의 대부분은 예레미야가 예언활동을 시작한 요시야 13년(BC 627)으로부터 예루살렘 함락(BC 586) 직후까지 기록되었으리라고 본다. 예레미야서의 기록목.. 2012. 3. 18. 선지자들의 예언 속에 나타난 천국운동(사-말라기) / 이사야서를 통해서 나타난 천국운동(2) 사 66:22 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나의 지을 새 하늘과 새 땅이 내 앞에 항상 있을 것 같이 너희 자손과 너희 이름이 항상 있으리라 첫째 : 하늘에 현존하는 천국 둘째 : 장차 임하실 나라, 새 하늘과 새 땅 지난 주에는 이사야 6장을 중심으로 하늘에 현존하는 천국에 관하여 살펴 보았다. 이제는 이 땅에 앞으로 임하실 나라로서의 천국, 새 하늘과 새 땅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하자. 사 2:4에 나타난 새 하늘과 새 땅의 성격(전쟁이 없는, 전쟁을 연습하지도 않는 평화의 세계) “무리가 그 칼을 쳐서 보습을 만들고 그 창을 쳐서 낫을 만들 것이며 이 나라와 저 나라가 다시는 칼을 들고 서로 치지 아니하며 다시는 전쟁을 연습지 아니하리라” 위의 말씀은 전쟁이 없는 세계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은 에덴동.. 2012. 2. 19. 이스라엘 왕국을 통해서 나타난 천국운동(삿-말) / 바벨론에서 칠십년 만에 돌아오는 유다인들(3)(에스더) 역사적 개관 및 당시의 바사왕들 에스라, 느헤미야, 에스더서의 연대별 정리 BC 538 고레스의 조서(스 1:1-2) BC 537 스룹바벨 인도하의 1차 귀환(스 2:1-70 BC 536 성전 재건 작업 개시(스 3:8-13) BC 536 성전 재건 작업 중단(스 4:24) BC 520 성전 재건 작업 재개(스 4:24-5:2) BC 520 다리오의 성전 재건 승인 조서(스 6:6-12) BC 516 제 2 성전 완공(스 6:15) BC 479 살라미스 해전 BC 479 에스더가 왕후로 간택됨(에 2:12-18) BC 458 아닥사스다의 귀환조서(스 7:11-26) BC 458 에스라 인도하의 2차 귀환(스 7:1-10) ? 성벽 재건 방해(스 4:7-23) BC 445 느헤미야의 탄원(느 1:1-3) .. 2011. 12. 18. 이스라엘 왕국을 통해서 나타난 천국운동(삿-말) / 바벨론에서 칠십년 만에 돌아오는 유다인들(3)(에스더) 역사적 개관 및 당시의 바사왕들 에스라, 느헤미야, 에스더서의 연대별 정리BC 538 고레스의 조서(스 1:1-2) BC 537 스룹바벨 인도하의 1차 귀환(스 2:1-70 BC 536 성전 재건 작업 개시(스 3:8-13) BC 536 성전 재건 작업 중단(스 4:24) BC 520 성전 재건 작업 재개(스 4:24-5:2) BC 520 다리오의 성전 재건 승인 조서(스 6:6-12) BC 516 제 2 성전 완공(스 6:15) BC 479 살라미스 해전 BC 479 에스더가 왕후로 간택됨(에 2:12-18) BC 458 아닥사스다의 귀환조서(스 7:11-26) BC 458 에스라 인도하의 2차 귀환(스 7:1-10) ? 성벽 재건 방해(스 4:7-23) BC 445 느헤미야의 탄원(느 1:1-3) B.. 2011. 12. 18. 이스라엘 왕국을 통해서 나타난 천국운동(삿-말) / 바벨론에서 칠십년 만에 돌아오는 유다인들(2)(느헤미야) 느헤미야서의 배경과 내용 느헤미야서의 배경 느헤미야에 의해 인도되는 제 3차 포로귀환(BC 444년)으로 시작되는 본서는 느헤미야의 2차 귀국(BC 432) 후의 활동을 잠깐 소개하는 내용으로 끝난다. 이처럼 불과 10여년의 짧은 기간을 배경으로 하지만 본서는 성벽재건(1:1-7:23)과 영적 부흥운동(8:1-13:31)이라는 두 개의 큼직한 주제를 심도 있게 전개시키고 있다. 당시에 느헤미야가 귀국할 때의 상황은 돌아온 유대인들과 예루살렘에는 많은 위기의 요소들이 나타나고 있다. 제 2의 예루살렘 성전이 건축되고 나서 성전을 건축한 당사자들이나 혹은 주변에서 모여든 자들 모두 선지자들의 예언대로 메시야의 강림과 메시야 왕국에 대한 기대들이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들의 기대대로 메시야의.. 2011. 12. 4.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